Women's Disease

자궁질환

25년 넘게 늘푸른산부인과를 선택해주신 이유
최선의 진료로 보답드리겠습니다.

자궁난소질환은 질병이 발생되는 해부학적인 위치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자궁질환, 내막질환, 난소질환'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궁질환은 크게 '자궁경부암, 자궁근종, 자궁선근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자궁경부암과 HPV"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경부에 세포변화가 진행되어
암이 발생되는 것을 자궁 경부암이라고 합니다.

자궁경부암은 대부분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성관계를 통해 감염되는 이 바이러스는 성관계 경험이 있는 여성 및 남성이라면 누구나 감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관계가 있는 여성들은 모두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에 지속적으로 오랫동안 감염된 여성은 자궁경부의 세포 변화가 시작되고,
변화 정도가 심해지면 암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 Virus: HPV

  • HPV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는 자궁경부암의 중요한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파필로마바이러스과(Papillomavirus family)에 속하는 이중 나선상 DNA 바이러스입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100여 종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중에서 40여종이 생식 기관에서 발견되며, 자궁경부 상피 내에 병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중 고위험군(high-risk group)인 발암성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자궁경부암과 연관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발암성 인유두종 바이러스 중 16, 18번이 가장 중요하고 전 세계적으로 70% 이상의 자궁경부암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 감염경로

    성관계를 통해 주로 전파 되며 성관계가 있는 사람은 누구나 걸릴 수 있습니다.
    또한 감염된 사람이 증상이 전혀 없을 때도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 감염에 따른 유발질병

    대부분의 HPV감염은 저절로 없어지지만 장기간 감염되어있는 경우에는 자궁 사마귀 또는 자궁경부에 생긴 조직의 변화로 암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면역력이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는 감염 지속 기간이 길어지며, 자궁경부암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 외, 드물게는 외음부암, 항문암 또는 인두암 등의 암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 예방법

    HPV에 대한 예방접종을 받으세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6개월 동안 3회 접종합니다.
    자궁경부암 검사를 주기적으로 받으세요. 필요에 따라 3~12개월에 한 번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해진 대로 주기적인 암 검진을 받으시면 암에 걸릴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성관계 할 때마다 라텍스 콘돔을 올바른 방법으로 사용하시면 감염률을 낮출 수 있습니다.

  • HPV 감염은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없어 감염 사실을 모른 채 수년간 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궁경부암의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성경험이 있는 여성은 감염 경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므로,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자궁경부암의 위험인자

자궁경부암은 성관계성 감염질환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일찍 시작된 성관계, 다수의 성교 상대자, 남성 요인, 인유두종바이러스감염,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감염 등이 그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01_

    인유두종 바이러스

    자궁경부암의 주된 원인은 성 접촉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감염이며,
    자궁경부암 환자의 약 99.7%에서 발견되었습니다.

  • 02_

    연령

    20세 이전에는 발병이 드물고, 30세 이후부터 50대까지 높은 발병률을 보입니다.

  • 03_

    사회 및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계층, 서양보다 동양이 많은 편입니다.

  • 04_

    결혼 및 성교 요인

    첫 성교 시 연령이 어리거나 성교상대자의 수가 많을수록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이 높고,
    많은 아이를 출산한 경우에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05_

    흡연

    흡연에 의한 유전자 변형으로 발암가능성이 있으며, 흡연에 의해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암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 06_

    경구피임약

    경구피임약을 오래 복용 시 자궁경부암 위험율을 1.2~1.5배 증가합니다.

자궁경부암의 증상

  • 질 출혈
  • 악취성 질 분비물
  •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가 1/3 정도
  • 폐쇄성 요로병변
  • 병이 심한 경우 체중 감소
  • 얼굴이나 손발의 부종

자궁경부암 검진방법

자궁경부암의 주요 증상은 질 출혈이지만, 증상이 시작되었다면, 이미 암은 어느 정도 진행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기적인 자궁경부암 검사를 받으면, 암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 01_

    세포진 검사 (Pap smear)

    • 성관계를 시작한 여성이라면 누구나 정기적으로 받아야 하는 검사이며, 확진 검사는 아니고, 선별검사로서 정확도는 약 60~70%정도 입니다.
    • 보통은 1년에 한 번씩 3년 연속 검사에서 정상이라고 하였을 때, 거의 100%의 암이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생리기간 중에는 가급적 피하고 가능하면, 생리 시작일부터 10~20일 사이에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02_

    액상 세포 도말 검사 (Thin Prep)

    액상세포 검사는 세포 도말 검사(PAP)를 보완하여 나온 검사로 정확도가 80~90%까지 높아져 최근 가장 많이 시행하고 있는 검사입니다.

  • 03_

    자궁 경부확대 촬영검사 (Cervicography)

    자궁경부에 시약 처리를 하고 확대해 촬영한 후 사진을 판독하여 자궁경부 병변을 발견하는 검사입니다.

  • 04_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사 (HPV DNA Chip)

    검사 방법은 액상세포 도말 검사와 동일하며 바이러스의 유무 및 종류를 확인합니다.
    액상세포 도말 검사와 병행할 경우 진단률이 높아집니다.

  • 05_

    조직검사 (Biopsy)

    자궁 경부 조직 검사는 세포 검사 또는 촬영 검사에서 병변이 의심되는 경우 확진을 위해 시행합니다.

  • 06_

    자궁경부 원추생검술

    이미 시행한 조직검사로 확진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진단적 원추생검술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