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men's Disease

내막질환

25년 넘게 늘푸른산부인과를 선택해주신 이유
최선의 진료로 보답드리겠습니다.

자궁난소질환은 질병이 발생되는 해부학적인 위치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자궁질환, 내막질환, 난소질환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궁내막질환은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용종,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식증

"호르몬 이상 분비로 인한 자궁 내 질환"

자궁내막증식증은 여성 호르몬의 불균형으로 자궁내막이 과도하게 증식하는 질환입니다.

자궁내막용종,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등이 동반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동반 질환에 대한 검진 및 치료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난임, 불임의 원인으로 작용되며 자궁내막암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치료 후에도 꾸준한 추적관리가 필요합니다.

  • 난포호르몬 증가

    (estrogen)

  • 황체호르몬 감소

    (progesteron)

  • 자궁내막증식증
    발생

자궁내막증식증의 원인과 위험성

자궁내막은 난포 호르몬과 황체 호르몬의 작용에 따라 변화합니다. 난소 기능의 이상으로 난포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며
배란 장애로 인하여 황체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을 경우 자궁내막은 안정을 이루지 못하고 계속 성장합니다.

자궁내막 증식증은 난포 호르몬 증가와 관련이 있는 자궁내막용종,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등의 비정상적 자궁내막이 증식하게 되며
생리 주기와 관계 없이 자궁내막에서 나와 부정기 출혈, 생리과다증이 유발됩니다.
또한 배란 장애로 인하여 난임 및 불임의 원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

자궁내막 증식증의 유형별 분류 및 치료

  • 단순형 증식증

    자궁내막을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작은 물혹 같은 구조를 띄고 있는 유형을 말합니다.
    낭포성 증식증이라고도 하며, 기능적인 이상으로 발생한 문제이기 때문에 암으로 발전될 가능성은 1% 이하입니다.

    치료방법

    경구용 항체호르몬 복용 또는 국소적 미레나 시술

  • 복합형 증식증

    단순형 증식증에 비해서는 더욱 자궁내막의 이상 증식 증상이 진행된 형태를 말합니다.
    빈 공간이 없을 정도로 자궁내막 세포가 증식된 상태로 선종성 증식증이라고도 부릅니다.
    단순형 증식증과 마찬가지로 암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낮은 편으로 약 5~10% 정도입니다.

    치료방법

    경구용 항체호르몬 복용 또는 국소적 미레나 시술

  • 이형 증식증

    자궁내막 세포의 기형 증세 심화로 자궁내막암의 전 단계와 유사한 상태를 말합니다.
    암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약 8~29% 정도이기 때문에 철저한 조직 검사를 통하여 경우에 따라서 전자궁적출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치료 후에도 지속적인 추적 관리를 통하여 재발 및 자궁 내 상태를 검진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