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men's Disease
25년 넘게 늘푸른산부인과를 선택해주신 이유
최선의 진료로 보답드리겠습니다.
자궁난소질환은 질병이 발생되는 해부학적인 위치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자궁질환, 내막질환, 난소질환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자궁내막질환은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용종,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
"가임기 여성의 약 10~15%에서 흔하게 발생"
자궁내막의 "선(gland)조직과 기질(stroma)"이 자궁이 아닌
다른 부위의 조직에 부착하여 증식하는 질환
가임기 여성의 약 10~15%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복강경 수술과 지속적인 추적관리를 통해 안전하게 치료합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에 존재해야 하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 위치하여 발생한 염증 질환입니다.
가장 흔히 발생하는 부위는 난소이며, 그 외에도 골반 벽과, 난관 등 다양한 부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크기 및 위치에 따라 극심한 생리통 및 하복부 통증을 유발시키며, 불임과 난임의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자궁내막증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원인은 아직까지 없습니다.
현재까지 생리혈의 역류와 면역력 결핍이 대표적인 자궁내막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원인으로 여겨지며, 그 외에도 여러 가지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자궁내막 조직의 이소성 착상설
생리혈의 역류로 인하여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외의 조직에 착상하여 자궁내막증을 유발한다는 이론
체강상피 화생설
어떤 자궁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골반 내 복막을 구성하는 세포가 화생성 변화를 일으킴
면역력 이상
세포매개성 면역이나 체액성 면역의 결함이 자궁내막증의 발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
유전적 요인
다인자성 유전 패턴, 즉 하나의 유전자 또는 몇 개의 유전자가 아니라 여러 가지 유전자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생각
자궁내막증은 월경 주기에 따른 생식 내의 여성 호르몬의 변화에 반응하여 증상이 악화되기 때문에, 그 치료를 위해서는 월경을 멈추게 하는 약물요법과 병적인 부위를 제거하는 수술 요법이 주로 선택됩니다.
치료 방법은 환자 개개인의 질환의 정도, 증상의 정도, 치료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되어 적용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