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녀막(Hymen)은 얇은 주름 조직으로 질구 바로 안쪽에 있으며 질의 입구를 부분적으로 막고 있습니다. 어떤 여성은 출생 시부터 처녀막이 없을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은 처녀막을 갖고 있으며 그 모양, 크기, 두께도 각기 다릅니다. 처녀막은 개인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이 있어 월경과 같은 배출물을 질 밖으로 처녀막을 거쳐 내보내게 됩니다.
물론, 첫 성교로 인하여 처녀막이 파열되기도 하지만 심한 운동을 하거나 탬폰과 같은 위생대를 사용하면 처녀막이 파열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저절로 파열되는 경우도 매우 흔합니다. 따라서 파열된 처녀막의 유무로 성관계의 경험이 있다거나 처녀성을 상실했다는 증거가 될 수 없을 것입니다.
손상되지 않은 원상태의 처녀막이 때로는 처녀성의 상징인 것처럼 여겨지기도 했으나 이는 절대로 잘못된 생각입니다.
|
|
처녀막의 모양 |
처녀막의 모양은 대부분 원형으로 생겼고, 드물게 원형의 처녀막 중간에 칸막이가 있는 칸막이형, 처녀막이 완전히 막혀있는 미 천공형과 여러 개의 작은 구멍이 있는 다공형 처녀막 등 다양한 처녀막 파열의 유형이 있습니다.
그리고 자위나 탬폰의 사용, 격렬한 운동 등에 의해서는 단순히 늘어나는 것이 대부분이고, 성교나 외상 등으로는 찢어지는 형태의 손상이 생기고, 점차 성행위를 함에 있어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올 수 있습니다. 이때 변화하는 모양은 성 관계 기간 및 횟수, 남자 성기의 크기, 처음 파열된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게 됩니다.
|
|
1. 정상적인 처녀막의 여러 형태 |
 |
|
2. 처녀막이 여러 형태로 파열된 경우 |
 |
|
3. 수술방법 |
 |
|
|
 |
파열의 종류에 따라 그에 알맞은 수술 법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섬세한 외과적 수술스킬이 요구되는 부분입니다.
1. 부분 봉합법
성경험이 많지 않아 처녀막의 일부만이 파열된 경우로 2중으로 봉합하여 성관계시 확실한 혈흔과 파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2. 격막형성법
전반적인 넓은 부위의 파열 부분 복구로는 봉합이 불가능할 때 1개나 2개의 격막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확실한 혈흔과 파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점막플랩
처녀막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경우로 점막 플랩 성형외과에서 피부손실이 많을 때 응용하는 방법입니다.
|
|
 |
|
|
|